UAM 친환경 효과 : 기존 교통수단과의 탄소 배출량 비교 AirMOUR는 UAM을 활용한 EMS(응급 의료 서비스) 모델을 연구, 개발하는 프로젝트이다. 특히 노르웨이, 핀란드, 독일 등에서 모의 비행을 통해 의사와 환자를 위한 eVTOL 및 UAM을 이용한 의료 서비스의 실제 적용을 검증하고 있다. |
|
|
본 보고서에서는 UAM과 EMS 사업 모델에 관한 연구를 다루고 있다. 연구의 핵심은 eVTOL과 UAM를 활용한 EMS 운영 모델을 개발하고, 지상 운송 및 기존 헬리콥터 기반 EMS와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UAM EMS 모델이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
|
|
본 연구는 설문 조사, 전문가 인터뷰, 워크숍, 문헌 참고 등의 방법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다. 설문 조사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UAM EMS에 대한 의견을 조사했으며, 워크숍을 통해서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였다. |
|
|
설문조사는 산업계, 학계 및 공공 기관의 드론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은 객관식과 주관식으로 총 30개의 문항을 구성되었으며, 객관식 질문은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총 응답수는 250개이다. |
|
|
인터뷰에 참여한 전문가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
|
|
UAM EMS에 대한 수요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UAS를 이용한 의료 물류 수송 서비스인데, 예를 들면 심장 제세동기, 의약품 혹은 병리 샘플을 운송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의료 요원을 구조 혹은 사고 현장으로 파견하여 환자를 다시 병원으로 이송하는 eVTOL을 이용한 응급 구조 서비스이다. |
|
|
첫 번째로 언급한 UAS를 활용한 서비스는 이미 초기 단계의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곳이 존재한다. 미국, 인도, 아프리카 등에서 의약품과 백신을 배송하는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는데, 도로가 열악하거나 교통 체증이 심한 구역에서 기존 지상 교통에 비해 비용적, 시간적으로 효율적인 것이 입증되었다. |
|
|
반면 아직 실전에 투입할 만한 응급 구조용 eVTOL이 개발되지 않았기에 현 단계에서는 eVTOL기반 EMS에 대한 수요 혹은 효용성을 측정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여러 연구에서 지형이 험하거나 병원까지 이동 시간이 긴 지역에서 기존 지상 기반 응급 서비스 외에 eVTOL기반 EMS가 실현 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1] |
|
|
기존 차량 기반, 혹은 헬리콥터 기반의 EMS 대비 UAM EMS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 헬리콥터에 비해 소음이 적고, 거리에 따라 차량에 비해서도 소음이 적을 수 있다.
- 헬리콥터 혹은 차량 운송에 비해 오염이 적다
- 예열 시간이 짧아 헬리콥터 운항과 비교하여 출동 시간 단축 가능
- 도심 도로 혼잡도에 따라 훨씬 빠른 접근이 가능
- 헬리콥터에 비해 운용 비용이 최대 10배 낮아져 비용 절감 가능[1]
|
|
|
기존 차량 기반, 혹은 헬리콥터 기반의 EMS 대비 UAM EMS의 제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헬리콥터나 차량에 비해 제한된 적재량
- 헬리콥터나 차량에 비해 제한된 운항 범위
- 아직 존재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 운영되는 UAM 인프라
- UAM 운영에 대한 불명확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정책 환경
- 날씨 및 기타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
|
|
|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서 관련된 이해관계자를 정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설문 조사를 통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해관계자가 누구인지 조사했다. |
|
|
그림 1. The most important ecosystem partners in emergency medical services |
|
|
병원과 연구소가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데 가장 중요한 이해관계자로 선정되었고, 헬리콥터 응급 의료 서비스(HEMS) 및 기타 EMS 서비스 제공업체가 두 번째로 중요하게여겨졌으며, UAM 서비스 제공업체와 함께 eVTOL, UAV 및 드론 제조업체가 세 번째로 중요하다고 선정되었다. 이 외에도 지방 및 지역 당국, 지방 자치 단체 등이 중요한 이해관계자로 선정되었다. |
|
|
다음은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UAM EMS의 주요 사용 사례이다. |
|
|
그림 2. Important use cases in medical services |
|
|
설문조사에 따르면 가장 중요한 적용 분야는 의약품 배송으로, 평균 2.11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두 번째로 중요한 사용 사례는 일반 의료진(의사 혹은 간호사)을 응급 현장으로 항공 운송하는 것으로 평균 2.05점을 받았다. 세 번째로 중요한 것은 특수 의료진(혈관외과 전문의, 조산사 등)의 응급 현장으로의 항공 이송으로 평균 1.95점을 받았다. |
|
|
또한 주관식 답변에서는 응급 장소에서 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하는 것과 관련된 사용 방안도 추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는 EASA에 진행한 UAM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에 관한 연구(2021)에서도 드러났는데, 해당 연구에서는 부상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것이 의약품 배송과 함께 가장 중요한 사용 사례로 선정되었다.[2] |
|
|
다음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UAM EMS에 대한 부가 가치와 장애요소이다. |
|
|
표 2. Barriers to delivery and value-add of medical devices, samples, or medicine |
|
|
표 3. Barriers to delivery and value-add of transporting medical staff
to the emergency place or the patient into the hospital |
|
|
본 보고서는 앞서 제시한 설문조사, 인터뷰, 워크숍의 결과를 토대로 6개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비즈니스 모델은 다음과 같다. |
|
|
Regional UAM Arena Business Model |
|
|
이 비즈니스 모델의 주요 활동은 UAM 사업자에 대한 평가 및 인허가 발급, UAM 기술 및 서비스 개발자를 위한 개발 환경 운영, 드론 및 eVTOL을 위한 테스트 배드 / 규제 샌드박스 운영, 조종사 혹은 기술자에 대한 교육 및 자격 인증, 마지막으로 컨설팅 / 자문 서비스이다. 잠재 고객으로는 UAS, UAM, 버티포트 운영자 등 다양한 운영자가 포함되며 안전 및 보안 당국, 응급 구조대, 장비 제조업체, 공역 관제 기관 같은 이해관계자가 포함된다. |
|
|
UAM EMS - Life-saving Packages Business Model
|
|
|
이 비즈니스 모델은 도시 및 도시 외곽 지역에 더 빠른 의료 지원을 제공하며 도로 교통상황과 무관하게 지원을 하며 현장의 응급 구조대에게 더 빠른 응급 의약품 또는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신속하게 비행 허가를 취득하여 환자의 위치까지 구호 물자를 전달하며 의료 물품의 보안을 보장하며 즉시 사용 가능한 재고를 유지하고 높은 수준의 임무 준비성을 확보해야 한다. |
|
|
UAM EMS - EMT Personnel Business Model
|
|
|
이 비즈니스 모델은 도시 및 도시 외곽 지역에 대한 신속한 의료 지원 제공을 위해 eVTOL을 사용하여 응급 구조 요원을 장비와 함께 응급 현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환자의 빠른 안정화, 이송 옵션 다양화를 기대할 수 있다. 구조 당국, 버티포트 운영자, 관제 기관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 비즈니스 모델의 수익원은 구급차 서비스와 유사한 모델을 기반으로 공공 부문의 예산에서 온다. |
|
|
Medical UAM - Material Relief Logistics Business Model
|
|
|
이 비즈니스 모델은 EMS의 일부는 아니지만 도심 외곽에 거주하는 사람의 서비스 격차를 해소하는 등 지원 활동으로 작용한다. 이 모델은 의료진의 가정 방문 지연의 위험 감소, 더 빠른 구호품 전달, 노인 재택 간호 및 의약품의 재고 보충 등의 가치가 있다. |
|
|
Medical UAM - Pathology Sample Logistics Business Model
|
|
|
이 비즈니스 모델은 수술 중 진단을 위한 샘플을 전달함에 있어 신속한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응급 구조의 경우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동시에 샘플을 동시에 전달하여 진단 시간을 단축시키고 더 신선한 혈액 샘플의 전달로 혈액 분석 신뢰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냉동을 필요로 하는 혈액 혹은 장기 등의 이송의 경우에도 이동 시간 단축을 통해 샘플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
|
UAM EMS UAS/eVTOL Service Operator Business Model
|
|
|
이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는 도심 지역의 긴급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 지상 교통 혼잡 우회를 통한 물류 속도 향상,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항공 의료 서비스 제공, 지자체의 긴급 대응 역량 강화로 정의할 수 있다. |
|
|
전세계 UAM시장은 2020년 29억 9,000만 달러에서 2028년 89억 1,000만 달러로 성장하고 2021 ~ 2028년 예측 기간 동안 16.77%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1] 이러한 성장률을 바탕으로 UAM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서 실증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고 EMS 분야 또한 그 중 하나이다. UAM의 EMS 분야 사용은 여러 연구를 근거로 많은 인명을 구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지상 운송 및 헬리콥터 기반의 기존 EMS와 비교했을 때 운영 및 재정 효율성, 지속 가능성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이점이 명확히 드러난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은 기체의 특성, 운항 범위 및 운항 조건에 따라 제한된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규제 측면, 제한적이거나 존재하지 않는 UAM 인프라 등 UAM EMS 운영을 어렵게 하는 요소 또한 존재한다. 본 보고서에는 이러한 특성들을 고려하여 잠재 시장 및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한 것이 아닌 아직 초기 단계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 정립에 대한 추가적인 노력, 조사 등이 진행되어야 UAM의 EMS 비즈니스 모델 운영 방안이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뉴스레터는 어땠나요?
더 읽어보기
[1] A. L. GmbH, “Multicopter in the rescue service Feasibility study on the application potential of multicopters as emergency doctor shuttles,” 2020.
[2] EASA, “Study on the societal acceptance of Urban Air Mobility in Europe,” 2021.
[3] F. B. Insights, “Urban Air Mobility (UAM) Market Global Market Analysis, Insights and Forecast, 2017-2028. Fortune Business Insights, 2021. - Google-haku.”
[4] AirMOUR, “EMS UAM business models for companies and public sector” 2023.
|
|
|
발행 KUTAM 작성 이현준
검수 AAM Open Space |
|
|
|
|